‘청년부터 고령자까지’…맞춤형 공공임대 확대된다

임철희 기자 / 2025-09-29 11:17:54
국토부, 특화주택 공모 실시…지역 맞춤형 주택 공급 박차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청년, 고령자, 양육 가구 등 다양한 주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 특화주택 공모’를 실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방공사,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 © CoolPubilcDomains, 출처 OGQ >

특화주택은 단순한 거주공간을 넘어, 사회복지시설, 돌봄 공간, 공유오피스 등 다양한 지원시설과 멘토링, 심리상담 등 특화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주거복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지역 맞춤형 정책과 연계한 입체적 주거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공모에 선정된 사업은 주택도시기금 출·융자 등의 재정지원을 통해 지역 여건에 맞는 특화주택을 적재적소에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내년도(2026년) 예산안에는 청년특화주택 및 육아친화 플랫폼,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의 건설비 지원이 새롭게 반영되며, 정부의 특화주택 정책이 한층 확대될 전망이다.
주요 확대 항목은 청년특화주택 76억 원, 육아친화 플랫폼 10억 원,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34.8억 원으로 배분했다.

이번 공모에 앞서 국토부와 LH는 9월 23일(충청·영남권), 9월 25일(호남·수도권·강원권) 등 권역별 사업설명회를 마쳤다. 정식 공모 접수는 9월 29일부터 11월 28일까지 두 달간 진행되며, 이후 제안서 검토, 현장 조사, 제안 발표 및 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말 최종 선정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공모는 총 4가지 유형으로 진행되며, 지역 실정과 입주 수요에 맞춘 맞춤형 주택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기봉 국토교통부 주거복지정책관은 “특화주택은 지역 수요에 맞는 주택을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의 재정지원을 통해 건설비 부담도 줄일 수 있다”며 “지방자치단체와 공공주택사업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