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한부모가정에도 반려동물 진료비 지원...20~40만원 상당

이경희 / 2023-03-16 11:44:24
한부모가정 자녀, 반려동물에 정서적 의존도 높아 지원 필요성 제기
과천시, 중위소득 120% 미만 가구 한부모가정에 지원
  성동구 주민이 반려동물과 함께 동물병원에 진료를 받고 있다. 출처=성동구

 

그동안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 반려동물에 정서적 의존도가 높았던 한부모가정의 자녀들. 이런 한부모가정에도 반려동물 의료비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이외에도 한부모가족까지 지원대상이 확대 돼서다.

서울 성동구는 취약계층의 반려동물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고자 3월부터 ‘우리동네 동물병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

우리동네 동물병원이란 서울시와 자치구가 취약계층의 반려동물 의료지원을 위해 지정한 재능기부 동물병원으로, 반려동물 보호자가 1만 원만 부담하면 건강검진, 예방접종, 중성화 수술, 질병 치료 등 20~40만 원 상당의 의료지원을 받을 수 있다.

올해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이외에도 한부모가족까지 지원대상을 확대해 최대 50마리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성동구는 “한부모가족은 자녀가 혼자 있는 시간이 많고 반려동물에 정서적 의존도가 높아 지원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올해 지원대상에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성동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서울서베이 조사에서 서울시 5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그 중 취약계층은 2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항목은 기초 건강검진, 필수 예방접종, 심장 사사충 예방약 등 30만 원 상당의 필수진료와 20만 원 이내의 선택진료(기초검진 중 발견된 질병 치료, 중성화 수술)이다. 동물 보호자는 필수진료의 경우 1회당 진찰료 5천 원(최대 1만 원), 선택진료는 2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만 부담하면 된다. 방문 시 준비서류는 수급자증명서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서, 한부모가족 증명서(3개월 이내 발급) 중 해당되는 서류와 보호자 신분증이다.

지원은 연 1회 성동구에 주소를 둔 주민으로 가구당 2마리까지 가능하며, 지정 동물병원에서 진료받으면 된다. 다만, 반려견은 동물 등록된 경우에 한하며 미등록견은 내장형으로 등록 후 지원이 가능하다. 우리동네 동물병원 사업은 사업비 소진 시까지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자세한 사항은 여성가족과로 문의하면 된다.

 

과천시도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며 개,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키우고 있는 중위소득 120% 미만의 돌봄 취약가구 중증장애인, 저소득층, 한부모, 다문화가정,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백신접종, 중성화수술비, 기본검진비 등의 의료비와 반려동물 돌봄 위탁비(최대 10일) 등에 대해 1마리 당 총 비용의 80% 한도 내에서 최대 16만원을 지원한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