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 재기지원③]“‘긴급지원’, 삶의 질 증진 효과 ‘톡톡’”

권일구 / 2023-02-16 10:43:49
긴급지원 통해 정서적 안정감, 사회적지지 수준 높아져

한국한부모연합이 진행한 ‘긴급지원 사업’이 코로나19로 이중고에 시달렸던 한부모가족들에게 삶의 질 효과 증진이라는 선물을 안겨 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해브투뉴스가 한국한부모연합(이하 연합회)이 발행한 ‘2022년 위기여성한부모가구 재기지원 및 위기대응 통합상담시스템 구축 자료집’을 살펴본 결과, 긴급지원 선정자 대다수에게서 정서적 안정감 등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자료=한국한부모연합 표=해브투뉴스

 

긴급지원 선정자 지원 전후 조사를 통한 자기비하 수준의 사전·사후 평균값을 살펴보면, 긴급지원의 효과는 자기비하 수준 전체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평균값이 높아졌다. 긴급지원을 받은 한부모의 약 63%가 사전에 자기비하 수준이 높았으나 사후 44%로 낮아진 것이다.

  자료=한국한부모연합 표=해브투뉴스

 

타인과의 관계 수준도 사전보다 사후에 평균값이 높아졌는데, 긴급지원을 받은 한부모의 약 20%가 사전에 타인과의 관계 수준이 낮았으나 긴급지원 후 약 30%의 한부모들은 새로운 것에 익숙해지고 사랑을 많이 받는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긴급지원 전 타인과의 관계를 묻는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가 23명에서 지원 후 17명으로 줄었고, ‘매우 그렇다’는 대답도 지원 전 3명에서 지원 후 7명으로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자료=한국한부모연합 표=해브투뉴스

 

또 자기주장과 불안 수준의 사전·사후 평균값을 살펴보면, 긴급지원의 효과는 자기주장과 불안 수준 전체에서 사후에 평균값이 낮아졌다.
연합회는 “긴급지원을 받은 한무모의 약 60%가 사전에 자기주장이 낮고 불안 수준이 높았다”며 “사후 40%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긴급지원을 받은 한부모는 자신이 사랑과 보살핌을 받고 있으며,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자부심을 느끼며 할 말이 있을 때 대체로 그 말을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료=한국한부모연합 표=해브투뉴스

 

이와 함께, 사회적지지 척도 수준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값 역시도 사전보다 사후에 평균값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는데, 긴급지원을 받은 한부모의 약 60%가 사전에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후 40%로 높아진 결과를 보였다. 긴급지원을 받은 한부모는 자신의 문제를 대처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충고, 조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자신의 행위를 인정해주는 정서적 안정감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는 것이 연합회의 설명이다.

결과적으로 한부모들은 긴급지원을 통해 자기비하, 불안 수준이 낮아지고, 타인과의 관계와 자기주장, 사회적지지 수준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긴급지원이 한부모들의 삶의 질 증진에 효과를 보인 것이다.

연합회는 “한부모 가족은 전체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시기에 이들은 생계와 돌봄의 이중부담, 경제적 빈곤, 사회적 관계의 단절 등 문제를 오롯이 가구주 혼자서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움에 처했다”며 “긴급지원은 한부모 가정에게 맞춘 사회복지적 개입 및 환경적 여건 마련의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