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된 청소년 중 중학생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
© jakobowens1, 출처 Unsplash |
25일 여성가족부의 '2024년 청소년 미디어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참여 청소년 124만9317명 중 22만1029명이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전년 같은 조사 때(23만634명)보다 9605명(4.16%) 감소했지만 여전히 위험한 수준이다.
과의존 위험군은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어 전문기관의 도움이 필요한 수준인 '위험사용자군'과 사용시간이 늘어나 자기조절에 어려움을 겪어 주의가 필요한 '주의사용자군'으로 나눌 수 있다.
과의존 위험군 22만1029명 중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은 17만4374명,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12만7845명이었다. 이중 인터넷과 스마트폰 모두 과의존 위험군에 속하는 청소년은 8만1190명에 달했다.
학년별로는 중학생(8만9812명·40.6%), 고등학생(7만3136명·33.0%), 초등학생(5만881명·26.2%) 순으로 많았다.
성별로도 남자 중학생이 3만7418명으로 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이 가장 많았고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여자 중학생이 2만6533명으로 가장 많아 중학생에게서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위험이 두드러졌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