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는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강화와 학교 밖 청소년 및 위기청소년 지원 강화, 다양한 가족 지원 강화, 5대 폭력 피해자 보호·지원 강화를 국정과제로 삼고 이들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실천에 옮기고 있다. 해브투뉴스는 여가부가 발표한 ‘제1차 한부모 가족정책 기본계획’ 이후, 국정과제 중 한부모가족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편집자의 주)
![]() |
출처=해브투뉴스 |
정부는 지역주민·다문화가족의 가족상담, 가족교육, 가족돌봄, 가족문화 서비스 등 가족과 관련된 문제를 종합적으로 상담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7일 해브투뉴스가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 정책 중 하나인 ‘가족센터 운영’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가족형태에 맞는 가족교육, 가족상담을 제공하고 가족돌봄 지원과 평등한 가족문화 조성에 나서고 있다.
지원 및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가족·부모 교육 및 상담 등 서비스와 다문화가족 지원이다.
모든 가족 수요에 맞는 서비스 지원
우선, ‘가족·부모 교육 및 상담 등 서비스’의 경우에는 지역적 여건, 특성, 수요에 따라 교육·상담·프로그램 제공 등 가족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가족에게 수요에 맞는 서비스를 지원하며, 가족의 특성별로 특화된 별도 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부모역할지원’은 영유아기, 아동청소년기, 성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생애주기 및 가족특성에 따른 부모됨의 의미, 올바른 부모역할 등에 대하여 지원한다.
‘부부역할지원’은 부부의 생애주기에 따른 양성평등한 부부역할을 지원하며, ‘이혼전·후가족지원’의 경우, 이혼신청가족 및 이혼전·후 가족 등에 대한 상담·교육·문화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 ‘관계향상지원’ 부부·가족 구성원간 성평등 인식 고취와 관계 향상을 위한 성평등 교육, 인권감수성 교육 등을, ‘가족상담’은 생애주기에 따라 발생하는 가족 내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개별, 그룹상담 등을 제공한다.
한부모·조손가족 등을 위한 지속적인 사례관리를 통해 가족기능 회복 및 역량강화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족역량강화’ 및 ‘일·가정양립지원’을 통해 직장 내 고충 및 가정 생활정보 등 맞벌이·한부모 가정 등의 일·가정 양립의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가족친화문화 프로그램’으로는 가족캠프, 가족축제, 가족체험활동 등 가족구성원이 참여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정착 및 자립 목적
다문화가족 지원과 관련해 여가부는 “다문화가족의 국내정착과 자립을 돕기 위해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패키지, 성평등·인권교육 등 기본프로그램과 함께 방문교육서비스 등 특성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본프로그램으로 가족, 성평등·인권, 사회통합, 상담 등의 분야 교육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국내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이용대상은 다문화가족 등이며 센터에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결혼이민자 역량강화)’의 경우, 다문화가족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 및 사회생활 적응을 지원하며, 이용대상은 결혼이민자, 중도입국자녀다. 서비스제공은 센터 또는 지자체 위탁기관에서 제공한다.
‘방문교육서비스’도 지원하고 있는데, 지리적 여건 등으로 센터 이용이 어려운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자녀양육 및 자녀생활 지원‧한국어교육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용대상은 만3~12세 다문화 가족이다. 비용은 이용가족의 소득수준에 따라 자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중언어 환경 조성’은 부모코칭‧부모-자녀 상호작용프로그램 등 이중언어를 가정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영유아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무료 제공된다.
‘자녀 언어발달지원’과 관련해서는 만12세 이하 다문화가족자녀에게 언어발달 지연을 보이는 다문화가족 자녀 대상으로 언어평가 및 1:1 언어 촉진교육을 제공한다. 1회에 6개월 최대 3회까지 연장(최대 총 24개월) 가능하다.
‘통·번역 서비스’는 한국말이 서툰 결혼이민자 및 외국인을 위해 일상생활 및 공공 영역에서 필요한 통·번역(센터별 1~4개 언어) 서비스로, 이용대상은 다문화가족 및 다문화가족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이다.
‘사례관리’는 다문화가족의 복잡하고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 대상자를 발굴하여, 심리검사‧법률상담‧위기가족 긴급지원‧외부자원 연계 등 종합적인 서비스로,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