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비 절감 정책인 ‘K-패스’가 시행 17개월 만에 이용자 400만 명을 돌파하며 대표적인 교통복지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30일 “지난해 5월 출시된 K-패스의 누적 이용자가 4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  | 
| < 제공 : 연합뉴스 > |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결제 금액의 일부를 환급해주는 제도로, 교통비 부담 완화와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동시에 노린 정책이다.
환급률은 일반 20%, 청년 30%, 2자녀 가구 30%, 3자녀 이상 가구 50%, 저소득층은 53.3%로, 가계 상황과 가족 형태를 세밀하게 반영한 맞춤형 혜택이 특징이다.
특히 올해는 다자녀 가구 유형이 신설되며 한부모·다자녀 가정의 교통비 절감 폭이 커졌다. 내년에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환급률 30%) 유형이 추가되고, 무제한 정액권 패스도 도입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고빈도 이용자의 교통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낮출 계획이다.
대광위는 오는 31일부터 신규 가입자와 고빈도 이용자를 대상으로 경품 이벤트를 진행하고, 이용자 아이디어 공유 행사도 열어 제도 개선 의견을 수렴한다. 또 11월 10일까지 내년 새로 선보일 무제한 정액권 패스의 브랜드명을 공모해 국민이 직접 정책 개발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  | 
| < K-패스 400만명 달성 기념 이벤트 홍보물. 제공 : 국토교통부 > | 
김용석 대광위원장은 “K-패스는 시행 1년 반 만에 국민이 체감하는 대표 민생정책으로 자리 잡았다”며 “앞으로도 이용자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보다 실질적인 교통복지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교통비 절감과 생활비 완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K-패스. 한부모·다자녀 가정, 청년, 저소득층 등 교통비 부담이 큰 계층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이 정책이 ‘대중교통 복지의 새 모델’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