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여성가족부 |
정부가 학업을 중단한 이유, 가족 및 친구관계 등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현황과 실태조사에 나선다. 이들을 위한 신속하고 효과적 대응을 위해서다.
29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현황과 실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오는 12월까지 ‘2023년 학교 밖 청소년 실태조사’를 실시한다.
전국 9세 이상 24세 이하 학교 밖 청소년으로, 7개 유형 기관 238개소 내 학교 밖 청소년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에 나선다.
이번 실태조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학업중단 시기와 이유, 신체적‧정신적 건강상태, 가족관계, 친구관계, 경제상태, 진로, 지원기관 인지도 및 이용경험, 학업중단 후 후회 및 차별경험, 정책 수요 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조사한다.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현황을 보다 시의성 있게 파악하기 위해 조사주기를 3년에서 2년으로 단축해 실시한다는 것이 여가부의 설명이다.
특히 이번에는 과거 조사와의 시계열 분석을 위하여 핵심내용은 유지하되, 설문지 문항을 저연령(9세~11세) 및 일반(12세~24세)용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또한, 최근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는 유해약물(마약류) 경험, 유해업소(룸카페 등) 이용 경험, 은둔‧고립 경험 등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을 추가했다.
조사방법은 학교 밖 청소년을 접촉할 수 있는 기관을 중심으로 전문 조사원에 의한 대면조사나 집단면접 등의 방식으로 실시한다.
접촉 기관은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청소년쉼터, 소년원, 보호관찰소, 대안교육기관, 내일이룸학교, 검정고시접수장을 통해 대상을 선정할 예정이다.
박난숙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실태조사를 단축해 향후 정책 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새로운 정책 수요를 발굴하고, 위험요인에 대한 대응도 강화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 대안교육기관 관계자는 “대안교육기관 입학한 학교 밖 청소년들은 마음의 상처와 경제적, 사회적 아픔을 앉고 들어 온 친구들이 많다”며 “이들을 좀 더 따뜻하게 보듬어주고 사랑과 관심을 줘야한다”고 설명했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