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여성가족부 |
정부가 다문화가족을 위한 취업 지원에 적극 뛰어들기로 했다. 이는 다문화가족의 구성원 다양화, 장기 거주자의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5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이기순 차관은 지난 20일 오후 서울 양천구 가족센터를 방문해 한국어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결혼이민자와 가족센터 및 여성새로일하기 센터 관계자들을 만났다.
특히, 이 자리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추진방향을 공유하는 등 현장 관계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 새롭게 추진되는 결혼이민자 맞춤형 취업지원이 결혼이민자 사회진출에 실질적인 디딤돌이 되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였다.
다문화가족의 가구 구성이 다양화되고 장기 거주자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지난 2021년 기준 결혼이민자·귀화자의 고용률은 60.8%에 그쳤다. 이는 2018년(66.4%) 대비 하락하였고, 임시·일용 근로자 비율이 높아 일자리 안정성이 낮은 상황이라는 것이 여가부의 설명이다.
반면, 임시근로자·일용근로자 비율 35.9%로 국민 일반 21.5% 대비 14.4%포인트 높았다.
이에 따라 여가부는 2024년 정부예산안에 결혼이민자의 수요와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 예산 30억원을 분배했다.
가족센터는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을 준비하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전문 한국어, 직업소양, 컴퓨터 등 직업 사전교육을 실시하고, 이후 여성새로일하기센터로 연계해 결혼이민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특화 직업훈련과정을 제공해 안정적으로 사회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이 차관은 다문화가족 자녀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학습, 진로설계, 이중언어 교육 확대 계획을 참석자들과 공유하고 양천구 가족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자녀지원 프로그램을 직접 참관했다.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다각적인 지원을 통해 결혼이민자와 자녀들이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으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다문화가족과 함께 성장하는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정부의 중점 정책과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현장방문을 계기로 다문화가족의 수요와 특성에 맞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가족센터 등 현장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해브투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